이종석 3·17의거 기념사업회장
성남고 1·2학년 400여명 주축
자유당 정권 부정선거에 저항
4·19 단초… 작년 민주운동 인정
영등포로터리 도로 인파로 꽉 차
시민 도움으로 경찰 따돌리기도
이종석 3·17민주의거기념사업회 회장이 27일 서울 동작구 성남고 교정에 있는 학생들의 항거를 기리기 위한 기념탑 앞에서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7일 서울 동작구 성남고 교정에서 만난 이종석 3·17민주의거기념사업회장(81)은 “성남고 학생들의 3·17의거는 부정선거 이후 서울 지역 최초의 항거로 이후 4·19혁명 등 민주화운동의 도화선이 됐다”고 말했다. 1960년 3월 15일 선거를 앞두고 자유당 정권은 이승만 대통령과 이기붕 국회의장을 당선시키기 위해 치밀하게 부정선거 계획을 짰다. 부정선거가 자행된 선거 당일 저녁 경남 마산에서는 부정선거 규탄 시위가 벌어졌고 1만명 넘는 시민이 거리로 나왔다.
이 회장이 다니던 성남고에서도 1·2학년생 400여명이 주축이 돼 부정선거 이틀 뒤인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로터리 앞에서 규탄시위를 벌였다. 이 회장은 “다 같이 출발하면 경찰에게 쉽게 붙잡히니 오전 수업을 들은 후 학교에서부터 3㎞가량 되는 집결지까지 학생들 각자 무리를 지어 가두시위를 벌이며 모였다”고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학생들은 시위 준비를 들키지 않으려 비밀리에 준비했다. 교내 동아리와 학생 임원을 중심으로 선언문과 구호 등을 준비하는 사이, 다른 학생들은 수업 시간마다 거리에 배포할 구호문(전단)을 선생님의 눈을 피해 노트에 직접 써서 여러 뭉치로 만들어 주머니에 숨겼다. 이 회장은 “17일 오후 1시에 영등포로터리에는 도로가 꽉 막힐 정도로 학생들이 모였다”며 “초등학교 학생들과 시민들도 함께 구경하고 손뼉 치며 호응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내 경찰과 소방서에서 사방을 둘러싸고 공포탄을 쏘면서 학생들을 연행하기 시작했다. 이 회장은 “붙잡히지 않으려 도망치다가 한 자동차 공업사에 숨었는데 그때 직원 서너 분이 경찰이 지나갈 때까지 숨겨 줘 운 좋게 끌려가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당시 경찰은 100여명에 이르는 고등학생을 연행하고 심문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3·17민주의거 기념 조례안’을 만들어 공포하며 “서울지역에서 일어난 3·17민주의거는 4·19혁명의 단초가 된 학생 의거”라고 평가했다. 61년 만에 학생들의 민주화운동이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이 회장은 “독재 정권의 강압과 삼엄한 경계 속에서도 학생들이 불의를 바로잡기 위해 자발적으로 한데 모인 역사인 3·17의거를 기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2-01-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