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원들을 총지휘하고 승객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선장이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하고, 선상에 있던 구명보트는 46개 가운데 단 하나만 펴졌다.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아수라장이었던 조타실 상황과 무용지물로 전락한 대피 매뉴얼 등 당시 상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17일 해경과 생존 승무원 등의 말을 종합하면 세월호 선장 이준석(69)씨는 급회전으로 왼쪽으로 선체가 기울기 시작하자 조타수 오용석(58)씨와 함께 조타실로 향했다. 당시 조타실에서는 3등 항해사와 조타수가 배의 균형장치인 힐링펌프 스위치 앞에 대기하고 있었고, 1등 항해사와 다른 조타수는 키를 잡고 있었다.
뒤늦게 조타실에 들어선 이씨는 항해사 등에게 급히 힐링할 것을 지시했다. 힐링이란 배수 펌프를 작동해 배의 균형을 잡으라는 의미다. 그러나 이미 균형을 잃은 배가 점점 더 기울어지자 이씨는 승객들에게 안내방송을 하라고 지시했다. 고 박지영(22)씨는 승객들에게 구명조끼를 입고 기다릴 것을 주문하는 1차 안내방송을 보냈다. 조타실 안에 있던 승무원들은 구명정 고정 레버를 당기려고 노력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자 이씨가 퇴선 명령을 내렸다. 배가 기울어지는 이상 징후를 느낀 지 30분이 지나서였다. 조타수 오씨는 “퇴선 명령이 승객들에게까지 전달됐는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퇴선 명령 이후 이씨와 기관장 박모(60)씨 등 핵심 승무원 10여명은 정확한 상황조차 모르는 승객을 뒤로한 채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수학여행을 온 안산 단원고 학생들은 영문도 모른 채 배 안에 남겨져 생사가 오리무중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정해 놓은 ‘세월호 운항관리규정’에 따른 대피 매뉴얼조차 지키지 않았다. 규정에 따르면 폭발, 인명 구조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선장은 선내에서 총지휘를 맡아야 하고 2인자인 1항사는 현장 지휘, 2항사는 다친 승객들을 돌보고 구명보트를 작동해야 한다. 그러나 기관장 박씨는 “기관실에 있는데 선장이 위험하니 올라오라고 했고, 아마도 9시쯤 탈출한 것 같다”고 말했다.
총지휘를 해야 할 선장이 승무원에게 탈출 명령을 내리고 승무원들은 승객 보호 의무를 뒤로한 채 오로지 ‘선장의 지시를 따르라’는 규정만 준수한 셈이다.
목포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17일 해경과 생존 승무원 등의 말을 종합하면 세월호 선장 이준석(69)씨는 급회전으로 왼쪽으로 선체가 기울기 시작하자 조타수 오용석(58)씨와 함께 조타실로 향했다. 당시 조타실에서는 3등 항해사와 조타수가 배의 균형장치인 힐링펌프 스위치 앞에 대기하고 있었고, 1등 항해사와 다른 조타수는 키를 잡고 있었다.
뒤늦게 조타실에 들어선 이씨는 항해사 등에게 급히 힐링할 것을 지시했다. 힐링이란 배수 펌프를 작동해 배의 균형을 잡으라는 의미다. 그러나 이미 균형을 잃은 배가 점점 더 기울어지자 이씨는 승객들에게 안내방송을 하라고 지시했다. 고 박지영(22)씨는 승객들에게 구명조끼를 입고 기다릴 것을 주문하는 1차 안내방송을 보냈다. 조타실 안에 있던 승무원들은 구명정 고정 레버를 당기려고 노력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자 이씨가 퇴선 명령을 내렸다. 배가 기울어지는 이상 징후를 느낀 지 30분이 지나서였다. 조타수 오씨는 “퇴선 명령이 승객들에게까지 전달됐는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퇴선 명령 이후 이씨와 기관장 박모(60)씨 등 핵심 승무원 10여명은 정확한 상황조차 모르는 승객을 뒤로한 채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수학여행을 온 안산 단원고 학생들은 영문도 모른 채 배 안에 남겨져 생사가 오리무중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정해 놓은 ‘세월호 운항관리규정’에 따른 대피 매뉴얼조차 지키지 않았다. 규정에 따르면 폭발, 인명 구조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선장은 선내에서 총지휘를 맡아야 하고 2인자인 1항사는 현장 지휘, 2항사는 다친 승객들을 돌보고 구명보트를 작동해야 한다. 그러나 기관장 박씨는 “기관실에 있는데 선장이 위험하니 올라오라고 했고, 아마도 9시쯤 탈출한 것 같다”고 말했다.
총지휘를 해야 할 선장이 승무원에게 탈출 명령을 내리고 승무원들은 승객 보호 의무를 뒤로한 채 오로지 ‘선장의 지시를 따르라’는 규정만 준수한 셈이다.
목포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