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지역기관과 협업수업… 맞춤형 교육 재탄생
국내 과학계에서 노벨상은 콤플렉스를 불러일으키는 부분이다. 이유는 한 가지. 아직까지 수상자가 없기 때문. 그래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하는 학자에게는 ‘노벨 수상자 후보’라는 수식어가 빠지지 않고, 수상 가능성이 점쳐지는 연구자가 대중들에게 집단적인 지지를 받기도 한다. 때로는 연구자가 심리적인 압박을 받을 정도로 노벨상급 연구 성과에 대한 사회적인 기대가 크다. 이런 가운데 80명이 넘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시카고대의 로버트 짐머 총장이 “노벨 수상자의 생각도 비판하는 학술대회 풍토”를 자랑으로 내세운 대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1970년대 혁신적이었지만 실패한 정책으로 꼽히는 필라델피아의 파크웨이 교육 프로그램과 비슷한 유형의 수업과정이 몇십 년 뒤 이 지역의 한 학교에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배울 점이 있다. 당장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창의적인 교육의 씨앗을 뿌렸을 때 그 명맥이 이어지고, 결국에는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교훈이 그것이다.프렌즈 실렉트 스쿨 교과과정의 하나인 박물관의 날 행사에 참여한 학생들이 지난 5월 필라델피아 미술관을 방문, 작품을 감상하며 토론하고 있다.
프렌즈 실렉트 스쿨 제공
프렌즈 실렉트 스쿨 제공
미국 필라델피아 박물관 밀집 지역에 자리잡은 ‘프렌즈 실렉트(Friends Select) 스쿨’은 원래 폐쇄적인 학풍의 학교였다. 퀘이커 신도의 자녀만 입학할 수 있었다. 지금도 퀘이커 정신에 따른 학풍은 유지된다. 하지만 설립 초기에 비해 구성원은 많이 바뀌었다. 인도와 중국 등지에서 유학을 할 수 있는지 문의가 끊이지 않는다고 이 학교 관계자는 설명했다. 입학 과정에서 종교적 제약을 없애자 이 학교의 커리큘럼을 좋아하는 학부모들이 세계 각지에서 몰려 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 학교의 로즈 헤이건 교장은 “학기마다 예술가 등 전문가를 초빙해 학생들과 공동 작업을 하는 수업이나 주변의 박물관이나 미술관과 연계한 프로그램에 대한 입소문이 나면서 학교에 대한 평판이 좋아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로 치면 유치원 과정부터 고교 과정까지 운영하는 프렌즈 실렉트 스쿨은 다양한 기관과 협력 수업을 많이 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때로 그 수준은 한 학교 단위에서 이루기 어려운 성과를 내기도 한다.
기자가 방문한 7월 헤이건 교장은 이 학교 5학년생들이 앞서 6월 필라델피아에 있는 프랭클린연구소가 주최한 고대 이집트 관련 전시회에서 자히 하와스에게 직접 설명을 듣는 장면이 뉴욕타임스에 실렸다고 전했다. 이집트 최고유물위원회의 자히 하와스는 미국의 대표적인 고고학자로 최근 투탕카멘의 사인이 말라리아에 의한 것이라고 규명한 인사다. 하와스와의 만남은 수업 시간에 이집트에 대해 배우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이메일을 보내고, 그의 홈페이지에 있는 자료들을 활용해도 되는지 묻는 등 의사소통을 시도한 끝에 이뤄졌다.
헤이건은 “각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는 수업에 익숙해진 학생들은 어떤 주제에 대해 배울 때 그를 확장해서 보려는 습관을 들이고, 조금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면서 “그러면 공부를 할 때 새로운 기회가 더 많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프렌즈 실렉트 스쿨에서는 전문가를 초빙해서 일정 기간 학생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수업도 활성화되어 있다.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강사를 찾아 특강을 부탁하는데, 미술가 등 예술가들의 특강이 여러 차례 이어지면서 프로젝트 형식을 갖추게 되기도 한다. 학교 관계자는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최신 정보를 습득하고, 퀘이커 정신에 따라 공동체 의식 함양교육을 받다 보면 국제적인 문제에도 자연스럽게 의견을 가지게 된다.”면서 “최근에는 아이티 구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는데, 평소에도 평화의 가치나 공동체 의무 등에 대한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프렌즈 실렉트 스쿨이 미술관·박물관을 비롯한 다양한 기관과 협업 작업을 하게 된 데에는 지리적인 이점도 한몫하고 있다. 이 학교는 필라델피아 미술관·로댕 미술관·자유 도서관·프랭클린 과학박물관 등이 밀집한 지역에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학생들이 학교를 벗어나 다양한 기관에서 학습하도록 하는 ‘파크웨이 프로그램’이 생기기도 했다. 벽 없는 학교로도 불리는 파크웨이 프로그램은 박물관과 미술관을 비롯해 언론사·기업 등 지역의 기관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 학생들이 각 기관을 찾아가 수업을 듣는 프로그램이다. 이미 1970년대에 개발된 ‘맞춤형 교육’의 효시라고 할 수 있지만, 이 프로그램은 사멸하고 말았다.
파크웨이 프로그램에 대해 헤이건은 “그런 프로그램이 있었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지만, 지금은 시행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필요한 것을 찾아가서 배우며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는 취지에 공감하지만, 예산이나 교육의 효율성 문제 등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그는 짐작했다. 이어 “교육 당국이 나서지 않더라도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이 갖춰야 할 역량을 생각한다면 비슷한 프로그램을 개별 학교가 유지해 나갈 수도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의 말에서 파크웨이 프로그램이라는 실험이 완전한 실패는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필라델피아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8-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