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9개大 수능 최저학력 충족 기준 탐구 1과목 대신 제2외국어 허용
주요 대학의 2015학년도 입시에서 제2외국어·한문 영역(제2외국어) 활용도가 정시뿐 아니라 수시에서도 높아지는 특징이 포착됐다고 교육업체 이투스청솔이 2일 분석했다.이종서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장은 “국어·수학·영어 등 3개 영역에서 수준별 A/B형 수능이 실시된 2014학년도부터 수능 최저학력 기준 완화 흐름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제2외국어 활용도를 높인 것은 이런 움직임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대학들은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다소 완화해 갑자기 치러진 수준별 수능 때문에 평소 실력보다 현저하게 낮아진 수능 성적으로 불이익을 보는 학생들을 구제하려는 조치를 취했다. 그렇다고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없애거나 무조건 낮추지는 못했는데, 이 기준이 대학별 서열 기준을 상징하는 것처럼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로 대학들이 제2외국어를 활용하게 됐다고 이 소장은 설명했다. 사회탐구(사탐) 영역 중 1개 과목을 망쳤거나, 백분위 성적에서 불리한 결과를 받은 학생을 위해 대학들이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시키느니 사회탐구 과목 대신 제2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길을 넓혀 놓았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지난해 수능에서는 사탐 과목 중 한국사와 경제가 쉽게 출제돼 이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들의 백분위 성적이 다른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됐다. 이럴 때 제2외국어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면 이 성적으로 사탐 과목을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올해 수도권 주요 30개 대학 중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했을 때 제2외국어로 탐구 1과목을 대체할 수 있게 한 대학은 9곳이다. 경희대, 국민대, 서강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등이다.
이 소장은 “탐구 2과목 외에 제2외국어까지 준비하려면 주요 과목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줄고 학습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도 “학습계획을 철저히 세우고 틈틈이 제2외국어를 잘 준비한다면 정시에서뿐 아니라 수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무기를 하나 더 얻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6-0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