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뚝’… 가동 제한 확대할 듯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등으로 지난해 국내 대형 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전업은 전년 대비 19%(3만 9706t) 줄어드는 등 효과가 뚜렷해 향후 발전소 가동 제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7/03/SSI_2018070317420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7/03/SSI_20180703174204.jpg)
7대 대기오염물질 중 질소산화물이 24만 2441t으로 전체의 67%였다. 이어 황산화물(10만 9339t), 먼지(6533t), 일산화탄소(2631t)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발전업 배출량이 16만 8167t으로 가장 많았고 시멘트제조업(7만 7714t), 제철제강업(5만 9127t), 석유화학제품업(3만 6574t)이 뒤를 이었다. 발전 가동 중단으로 미세먼지 원인 물질 배출도 줄었다.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먼지가 전년 대비 각각 2만 8805t, 1만 1481t, 393t 감소했다.
경기(1만 6910t)는 사업장(152개)이 충남(61개)의 2.5배지만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으로는 화력발전소가 밀집된 충남(8만 7135t)의 5분의1에 불과했다. 강원은 사업장(26개)이 적지만 시멘트제조 사업장이 밀집돼 사업장당 배출량이 가장 높았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7-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