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봄 미세먼지 전년 대비 4% 감소…중국발 미세먼지 감소·석탄발전 중지 덕

올 봄 미세먼지 전년 대비 4% 감소…중국발 미세먼지 감소·석탄발전 중지 덕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6-02 11:25
수정 2022-06-02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미세먼지 농도 4% 감소, 좋음일수 5일 증가한 40일
한반도 영향 베이징, 허베이 미세먼지 14~36% 감소

이미지 확대
코로나 19로 일상마저 멈춰 답답했던 지난해 제주도의 하늘은 2015년 관측이래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 바다보다 더 푸른 하늘을 보는 날이 많았다.
코로나 19로 일상마저 멈춰 답답했던 지난해 제주도의 하늘은 2015년 관측이래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 바다보다 더 푸른 하늘을 보는 날이 많았다.
지난 겨울부터 올 봄까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미세먼지가 전년에 비해 4% 가량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3월 31일까지 추진한 ‘제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효과를 종합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일 밝혔다.

센터측은 제3차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전국 초미세먼지 관측 및 기상자료, 미세먼지 저감정책 추진에 따른 배출원별 감축량, 대기질 수치 모델링 결과 등으로 구분해 상세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이번 3차 관리제 기간에는 제2차 계절관리제(2020년 12월~2021년 3월) 때와 비교해 기상여건이 다소 불리했지만 전국 초미세먼지 평균농도와 나쁨일수는 낮아지고 좋음일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관리제 기간 동안 전국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3.3㎍/㎥으로 전년 같은 기간 평균농도(24.3㎍/㎥)보다 1㎍/㎥이 감소해 4% 정도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일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나쁨일수는 20일에서 18일로 이틀 줄었고, 좋음일수는 35일에서 40일로 5일 늘었다.

기상여건은 전년보다 초미세먼지 농도에 불리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강수량은 58㎜, 강수일수는 4일 감소했다. 동풍일수 8일이 줄고 초속 1.2m 정도의 저풍속 일수가 3일이 늘어 초미세먼지 농도를 줄이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월별 초미세먼지 평균농도는 0.6~0.9㎍/㎥ 증가하는 영향이 있었다.

그렇지만 그동안 한반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국발 초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하면서 월별 초미세먼지 평균농도가 1.2~2.9㎍/㎥ 감소 효과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국 베이징, 허베이, 톈진 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14~36% 감소되면서 국내 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도움이 됐다.

이와 함께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석탄발전 가동 축소, 5등급차량 운행제한 등 저감정책 시행으로 13만 2486t의 감소 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김진식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이번 분석 결과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국민, 기업, 지방자치단체 등 각계의 노력으로 제3차 계절관리제가 착실히 추진돼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미세먼지 개선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발생원인을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정책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