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커진 체격의 비밀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커진 체격의 비밀

입력 2013-09-02 00:00
수정 2013-09-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즘 신세대는 확실히 체격이 큽니다. 가까이 다가가 슬쩍 견줘 보면 머리 하나가 더 있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만큼 체중도 많이 나가 그 비후장대함이 예전 같으면 ‘왕후장상’이나 ‘장군감’으로 조금도 손색없습니다. 헐벗고 굶주리며 자란 베이비부머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지요. 잘 먹고 자란 탓입니다. 그러나 이런 세태가 마냥 좋기만 한 것일까요.

확실히 요즘 사람들 잘 먹고 삽니다. 잘만 먹는 게 아닙니다. 전 인구의 80%가 도시에서 사는 탓에 예전과 달리 신체적인 활동량이 크게 줄었지요. 당연히 열량이 남아돌아 비후장대로 치달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우스갯소리로 “이러다가 우리나라가 가라앉지나 않을까”라며 살집만 키워 비만 천국으로 치닫는 세태를 걱정하기도 합니다만, 문제는 그 체격이 정말 잘 먹기만 해서 얻어진 게 아니라는 데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육류 소비량은 연간 55㎏쯤으로, 중국(53㎏)이나 일본(46㎏)을 뛰어넘었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먹어치우는 소, 돼지와 닭, 생선류에 대부분 성장호르몬을 사용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뿐이 아닙니다. 그런 육류를 이용하는 숱한 가공식품과 달걀, 패스트푸드에도 호르몬은 들어 있다고 봐야 합니다. 그런 식품을 많이 먹을수록 몸에 축적되는 성장호르몬의 양도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테면 간접적으로 성장호르몬 주사를 맞는 격이지요. 그렇게 섭취한 호르몬이 사람의 몸속에서도 제 역할을 다하니, 고기 많이 먹고 자란 세대는 순수한 고기의 영향 이상으로 덩치가 클 수밖에 없는데, 그런 자녀들을 지켜보면서 “자식놈 듬직하게 키워 놓으니 참 보기 좋다”고 흐뭇해할 일일까요.

호르몬의 영향은 아직도 규명되지 않은 영역이 많습니다. 그래서 정말 필요한 경우에만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하는 게 현명하지요. 물론 이 경우라도 나중에 호르몬의 역작용이 예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나타날 가능성까지 배제하지는 못하는 일입니다만, 아무튼 현재로서는 그것이 최선입니다. 물렁물렁 덩치만 큰 세대의 잘못 길들여진 육식 습관이 적이 걱정되는 나날입니다.

jeshim@seoul.co.kr



2013-09-02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