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치과를 찾을 때면 몇번씩 망설이게 된다. 어느 치과를 가야할 지 판단이 어려워서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런 고민을 덜 수 있게 됐다.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최남섭)는 의료 소비자들의 선택을 돕기 위해 올해부터 전국적으로 ‘우리 동네 좋은 치과’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치협 측은 “이 캠페인은 ‘동네 치과’가 가진 주치의 개념을 확대해 신뢰와 안심, 그리고 평생동안 믿고 진료한다는 장점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라면서 “치과를 찾는 환자들이 손쉽게 ‘찾아가도 좋은 치과’를 선별하도록 돕는 것은 물론 과잉진료 등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소위 ‘사무장 치과’를 척결하기 위해 이 캠페인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사무장 치과란 비의료인이 치과 의사를 고용해 영리 목적으로 운영하는 치과를 말한다.
치협 측은 이어 “정부가 주도하는 의료영리화를 저지하고, 갈수록 어려움을 겪는 동네 치과를 살리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남섭 회장은 “치협이 인증한 ‘우리 동네 좋은 치과’는 필요한 진료만 하는 곳, 치과 의사가 직접 상담과 진료를 하는 곳, 검증된 재료를 사용하는 곳, 간단한 진료에도 최선을 다하는 곳을 뜻한다”면서 “이런 기준으로 좋은 치과를 선별해 국민들의 선택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치협 측은 전국에서 건전하게 진료 활동을 하는 ‘좋은 치과’를 선정해 이를 인증하는 마크(사진)를 부착하도록 해 사무장 치과와 일부 불법 네트워크치과 등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로 했다.
치협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사무장 치과에 대해 응답자의 82%가 법적인 단속을 원했으며, 의료영리화에 대해서도 반대(59.4%) 의견이 찬성(18.1)보다 3배 이상 많았다”면서 “앞으로도 의료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지속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치협은 이와 함께 진료를 과도하게 상업화하거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등 비윤리적인 회원들에 대한 자정활동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치협 측은 “이 캠페인은 ‘동네 치과’가 가진 주치의 개념을 확대해 신뢰와 안심, 그리고 평생동안 믿고 진료한다는 장점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라면서 “치과를 찾는 환자들이 손쉽게 ‘찾아가도 좋은 치과’를 선별하도록 돕는 것은 물론 과잉진료 등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소위 ‘사무장 치과’를 척결하기 위해 이 캠페인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사무장 치과란 비의료인이 치과 의사를 고용해 영리 목적으로 운영하는 치과를 말한다.
치협 측은 이어 “정부가 주도하는 의료영리화를 저지하고, 갈수록 어려움을 겪는 동네 치과를 살리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남섭 회장은 “치협이 인증한 ‘우리 동네 좋은 치과’는 필요한 진료만 하는 곳, 치과 의사가 직접 상담과 진료를 하는 곳, 검증된 재료를 사용하는 곳, 간단한 진료에도 최선을 다하는 곳을 뜻한다”면서 “이런 기준으로 좋은 치과를 선별해 국민들의 선택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치협 측은 전국에서 건전하게 진료 활동을 하는 ‘좋은 치과’를 선정해 이를 인증하는 마크(사진)를 부착하도록 해 사무장 치과와 일부 불법 네트워크치과 등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로 했다.
치협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사무장 치과에 대해 응답자의 82%가 법적인 단속을 원했으며, 의료영리화에 대해서도 반대(59.4%) 의견이 찬성(18.1)보다 3배 이상 많았다”면서 “앞으로도 의료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지속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치협은 이와 함께 진료를 과도하게 상업화하거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등 비윤리적인 회원들에 대한 자정활동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