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노인이 쓴 건보 진료비 총액 첫 40% 돌파

고령화에… 노인이 쓴 건보 진료비 총액 첫 40% 돌파

신형철 기자
입력 2019-05-26 22:16
수정 2019-05-27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5세 이상 작년 월평균 37만 8657원…전체 보험 인구 평균 진료비의 3배

65세 이상 노인이 쓴 건강보험 진료비가 지난해 처음으로 전체 진료비의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주요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요양기관(의료기관·약국·보건소 포함)에서 진료를 받고 환자가 지불한 건강보험 진료비(건강보험 부담금과 환자 본인부담금 포함)는 77조 658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이 사용한 진료비는 31조 6527억원으로 전체의 40.8%를 차지했다. 노인 진료비가 늘어난 것은 급격한 고령화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7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778만 3826명으로 전체 인구의 15.1%였다. 통계청은 202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 ‘초고령사회’(노인인구 비율 20%)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65세 이상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2년 16조 3401억원(34.2%), 2013년 18조 565억원(35.4%), 2014년 19조 7417억원(36.3%), 2015년 21조 8023억원(37.6%), 2016년 25조 187억원(38.7%), 2017년 27조 6533억원(39.9%)으로 매년 늘고 있다. 월평균 진료비도 2012년 25만 4605원에서 2015년 29만 5759원, 2016년 32만 8599원, 2017년 34만 6161원으로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는 37만 8657원을 기록해 2017년(34만 6161원)보다 9.4% 증가했다. 37만 8657원은 전체 건강보험 적용 인구의 1인당 월평균 진료비(12만 6891원)의 3배 수준이다. 이처럼 노인 진료비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건강보험진료비 가운데 건강보험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한 보험 급여비도 61조 6696억원으로 2017년 대비 12.9% 증가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19-05-2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