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천문학자 이름 달 표면에 새겨졌다

조선시대 천문학자 이름 달 표면에 새겨졌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8-19 10:47
수정 2024-08-19 1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달 뒷편 남병철 충돌구의 위치(빨간 점)  경희대 제공
달 뒷편 남병철 충돌구의 위치(빨간 점)

경희대 제공


달 표면 크레이터(충돌구)에 조선시대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남병철의 이름이 붙여졌다.

경희대와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국제천문연맹(IAU)이 지난 14일 달 뒷면에 특이한 자기장 특성을 보이는 충돌구에 ‘남병철 충돌구’라는 이름을 부여했다고 19일 밝혔다. 남병철 충돌구는 1980년 이후 명명된 달 충돌구 중 가장 큰 충돌구이며 한국이 제안해 조선 학자의 이름이 부여된 첫 사례다.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대(UCSC)와 함께 충돌구가 발생할 때 충격 에너지로 인한 달 표면 자기장 변화를 연구하던 중, 달 뒷면에서 충돌구 내외부의 자기장 차이를 보이는 특이한 충돌구를 발견하고 2021년에 이름 없는 상태에서 과학 저널 ‘네이처’에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후 경희대 연구팀은 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와 협의를 거쳐 조선 후기 예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하고 ‘성요’, ‘추보속해’ 등을 저술한 남병철(1817~1863)의 이름으로 해당 충돌구에 대해 명명을 신청했다. 달 표면 충돌구 이름은 IAU가 주관해 명명하는데, 명칭 부여를 위해서는 해당 이름의 과학적 의미가 중요하며, 사람 이름일 경우는 과학자임을 증명해야 한다.

달 표면에는 30만 개가 넘는 충돌구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1919년 IAU 창설 이후 공식적으로 인정한 충돌구는 1만 개 미만이며 이름이 붙은 것은 1659개에 불과하다.

이미지 확대
남병철 충돌구의 확대 사진  경희대 제공
남병철 충돌구의 확대 사진

경희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