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광주 세계수영선수권 참가 의지…평화 물결 넘실댈 것”

“北, 광주 세계수영선수권 참가 의지…평화 물결 넘실댈 것”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1-08 01:34
수정 2019-01-08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용섭 조직위원장 인터뷰

10억명 보는 메가 이벤트 7월 12일 개막
“다이빙에 강한 북한 출전하면 흥행 신화
259억 추가 확보… 고효율 저비용 대회로”
이미지 확대
이용섭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원장
이용섭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원장
“평창동계올림픽이 평화의 물꼬를 튼 대회였다면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평화의 물결이 넘실대는 대회가 될 것입니다.”
이용섭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원장(광주광역시장)은 올해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열리는 국제대회인 이 대회의 의미를 7일 이렇게 함축했다. 오는 7월 12일부터 28일까지 세계선수권이 열리고, 8월 5일부터 18일까지는 마스터스 대회가 이어진다. 이 위원장은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예산 259억원을 추가로 확보하고, 중국 항저우에서 북한 경영 선수단과 만나 대회 참가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지난달 항저우 국제수영연맹(FINA) ‘월드 아쿠아틱스 갈라’에 참가한 북한 경영 선수단 단장과 감독, 선전부장, 선수들과 광주에서 다시 만날 것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이 부다페스트 대회 은메달과 동메달, 카잔 대회 금메달과 동메달 하나씩 딸 정도로 다이빙 강국이라며 국내 스타가 없어 부족한 대회 흥행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말 북한을 방문하려다가 미뤘다”며 “올해 적절한 시기에 북한을 찾아 응원단과 공연단이 함께 광주를 방문할 것을 제안하려 한다. FINA도 북한 선수단의 참가 비용과 중계권을 무상 양도하기로 약속하는 등 적극적”이라고 전했다. 또한 “예산은 충분하지는 않지만 ‘고효율 저비용’ 대회로 치를 발판을 만들었다”고도 했다.

세계수영선수권은 약 10억명이 생중계로 대회를 지켜보는 5대 메가 이벤트에 포함된다. 조직위는 세계선수권대회를 성공적으로 준비해야 하지만 8월 5일 막을 올리는 마스터스 대회에도 더욱 세심한 신경을 쓰고 있다. 이 위원장은 “선진국에서는 초등학생부터 생존수영을 가르치는데 우리는 시작 단계”라며 “대회만 치르고 끝나면 아무것도 돌아오는 게 없게 된다. FINA와 대한수영연맹 등과 협의해 계속해서 많은 대회를 광주에서 개최하도록 노력하겠다. 수영을 시민 속에 뿌리 내리게 하고, 광주를 외지인들도 찾아오는 도시로 만들도록 ‘레거시’에 열과 성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광주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9-01-0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