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17일간 열전 돌입
도쿄올림픽 전초전… 출전권 43% 결정194개국 선수 2639명… 역대 최대 규모
美경영대표팀 올림픽 남녀 金 18명 출전
선수권 최다 金 드레슬… 3연패 러데키
![물 위의 발레리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11/SSI_20190711181916_O2.jpg)
광주 연합뉴스
![물 위의 발레리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11/SSI_20190711181916.jpg)
물 위의 발레리나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막을 하루 앞둔 11일 광주 서구 염주종합체육관에서 아티스틱수영 한국 대표팀 선수들이 훈련에 열중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광주 연합뉴스
FINA가 주관하는 세계선수권대회의 아시아 개최는 일본 후쿠오카(2001년), 중국 상하이(2011년)에 이어 광주가 세 번째다. 이번 대회는 개회식에 앞서 오전 11시 다이빙 남자 1m 스프링보드로 막을 열어 오는 28일까지 광주시와 전남 여수엑스포해양공원 등 5개 경기장에서 경영, 다이빙, 아티스틱수영, 수구, 하이다이빙, 오픈워터수영 등 6개 종목의 76개 세부 경기로 진행된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메달이 걸린 종목은 경영으로 총 42개의 금메달 주인공을 가린다. 다음으로 다이빙 13개, 아티스틱수영 10개, 수구 2개, 오픈워터수영 7개, 하이다이빙 2개 순이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11/SSI_2019071118202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11/SSI_20190711182020.jpg)
한국은 박태환 이후 끊긴 FINA 세계선수권 ‘금맥’을 캐는 데 혼신의 힘을 기울인다. 한국 수영은 박태환이 2007년 호주 멜버른대회(자유형 400m 금)와 2011년 중국 상하이대회(자유형 400m 금·200m 동)에서 따낸 3개의 메달 이후 세계선수권 메달을 수확하지 못했다. 그러나 개최국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는 8년 동안 끊겼던 메달의 꿈을 다시 살릴 절호의 기회다.
광주대회는 1년 앞으로 다가온 도쿄올림픽 수영 종목의 출전권이 43%나 걸려 있어 가장 뜨겁게 다투는 ‘격전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2013년 바르셀로나대회부터 3개 대회 남녀부 최우수선수(MVP)가 모두 출전하는 데다 세계 최강으로 꼽히는 미국 경영대표팀에서만 케일럽 드레슬, 케이티 러데키, 릴리 킹 등 올림픽 남녀 금메달리스트 18명이 광주대회에서 정상의 자리를 놓고 다툰다.
드레슬은 2017년 부다페스트대회 7관왕에 오르며 ‘수영 황제’ 마이클 펠프스(은퇴)가 가진 단일 세계수영선수권 최다관왕 타이기록을 세웠다. 그는 데뷔 무대인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 2개의 금메달을 수확하며 펠프스의 후계자로 지목받았다.
러데키는 2013년 바르셀로나, 2015년 카잔대회 연속 여자부 MVP를 차지한 ‘수영 여제’다. 그는 바르셀로나부터 3개 대회 연속 여자 자유형 400m·800m·1500m 금메달을 독차지해 ‘3개 종목 3연패’라는 전무후무한 역사를 썼다. 현재 여자 자유형 400m(3분56초46)·800m(8분04초79)·1500m(15분20초48)의 세계기록 보유자가 러데키다.
러데키는 이번 광주대회를 역대 올림픽 단일 대회 여자수영 최다 메달리스트의 등정 발판으로 삼을 전망이다. 펠프스가 역대 올림픽 단일 대회 최다 메달리스트(7개)라면 여자 수영에선 크리스틴 오토(구 동독)가 6개의 최다 기록을 갖고 있다. 러데키는 리우대회에서만 4개의 금메달을 휩쓸어 2개 차로 오토에게 근접했다.
특별취재팀
■특별취재팀
안동환 체육부장, 최병규 강국진 류재민(체육부)
최치봉 최종필(사회2부)
2019-07-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