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사 포함하면 법조인만 48%
계약 선수보다 많아… 과잉 우려선수협회 “시장개척 차원일 것”
‘제2의 제리 맥과이어’를 꿈꾸는 걸까, 아니면 구직난의 반영일까.
프로야구선수협회가 4일 프로야구 첫 ‘에이전트’(공인 선수대리인) 자격시험 합격자 94명의 직업을 분석한 결과 변호사가 45%로 가장 많았다. 법무사(3%)까지 포함하면 법조인 비율이 48%나 됐다. 변호사 중엔 미국 로스쿨 출신과 일본야구기구(NPB) 대리인 자격증을 소유한 재일동포 법조인도 있었다. 마케팅과 에이전시 등 기존 스포츠업계 종사자와 일반 회사원도 각각 18%, 15%로 2, 3위를 차지했다.
이들은 다음달 1일부터 선수들과 접촉해 대리인 계약을 할 수 있다. 다만 올해 연봉 협상이 ‘끝물’이어서 이들의 실질적인 활동은 올 시즌 이후부터다.
그런데 이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냉혹한 현실이다. 톰 크루즈 주연의 1996년 영화 속 제리 맥과이어처럼 열심히 일한다고 해도 대박을 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지난해 선수들의 연봉 규모는 700억원에 이른다. 자유계약선수(FA) 계약금을 포함하더라도 1000억원 안팎이다. 에이전트가 받을 수 있는 최고 상한액(5%)을 기준으로 잡아도 에이전트 몫은 35억~50억원밖에 안 된다. 여기에 이미 매니지먼트 계약을 맺고 있는 비싼 몸값의 유명 선수들과 에이전트 계약이 사실상 필요하지 않은 연봉 1억원 미만의 선수들을 뺀다면 에이전트시장 파이는 이보다 더 쪼그라든다.
김선웅 선수협회 사무총장은 “연봉 1억원을 넘지 못하는 프로야구 선수가 절반이나 된다는 현실을 돌아봐야 한다”며 “변호사들이 대거 (이 시장에) 뛰어든 것은 당장의 돈벌이보다 시장개척 차원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투잡을 하지 않고서는 순수 에이전트로 밥벌이가 쉽지 않은 구조”라면서 “현재로선 몸값 상위 20∼30% 선수만이 에이전트를 고용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나마 FA 계약 대상자가 많이 배출되면 다행이지만 우리는 FA 대상 시기도 늦다. 군복무까지 마치면 미국에 비해 5년, 일본과 견줘도 3년이나 늦게 FA 시장에 나온다. ‘돈 되는’ 특급 FA 선수가 많지 않다는 의미다. ‘에이전트들을 왜 이렇게 많이 뽑았나’라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김 사무총장은 “프로구단의 전력 평준화를 고려한 우리의 FA 제도는 제한이 많다”면서 “(대졸 8시즌·고졸 9시즌인) FA 기간을 줄이거나 FA에 등급을 매기는 제도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에이전트들도 양극화 현상이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수들과 유대 관계가 없는 신생 에이전트는 생존 자체가 어렵고, 매니지먼트 계약으로 사실상 에이전트 역할을 해 오던 곳들은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다. 김 사무총장은 “시장 규모로 볼 때 20∼30명의 에이전트가 활동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지금은 계약할 선수보다 에이전트가 더 많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8-01-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