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선 시동? 정몽규 KFA 회장, AFC 집행위원 선출

4선 시동? 정몽규 KFA 회장, AFC 집행위원 선출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5-16 15:04
업데이트 2024-05-16 15: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년여 만 축구 외교무대 복귀
협회장 4선 정지작업 분석

이미지 확대
한국-필리핀 경기 찾은 정몽규 회장
한국-필리핀 경기 찾은 정몽규 회장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달 5일 이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한국 여자축구 국가대표와 필리핀과의 친선경기를 기념하기 위해 운동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뉴시스
국내 축구계에서 퇴진 압박을 받고 있는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 아시아축구연맹(AFC) 집행위원으로 선출되며 1년여만에 국제 축구 외교 무대로 복귀했다.

16일 대한축구협회(KFA)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34회 AFC 총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됐다. 정 회장은 이번 선거에 단독 출마해 투표 없이 박수를 받으며 선출됐다.

AFC 집행위원회는 아시아 축구 최고 집행 기구로 AFC 행정의 주요 의사결정을 내린다.

AFC 회장 1명과 부회장 5명, 국제축구연맹(FIFA) 평의회 위원 6명(여성 1인은 집행위원 겸직)과 집행위원 18명 등 총 30명으로 구성된다. 동아시아에는 6장의 집행위원 쿼터가 배정돼있는데, 이중 한 자리가 지난해 2월 열린 AFC 총회 이후 공석이었다.

정 회장은 지난해 2월 총회에서 FIFA 평의회 위원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했다. 이후 지난해 6월 AFC 회장 직권으로 AFC 준집행위원 자격을 얻었고 이번 총회에서 공석이었던 동아시아지역 할당 집행위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

현 집행위원 임기는 2023년부터 2027년 정기총회까지로, 정 회장의 임기도 이에 따른다.

축구협회는 “정 회장은 임기 동안 아시아축구의 방향성과 정책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국제축구 무대에서 한국 축구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같은 협회의 자화자찬에도 불구하고 정 회장에 대한 국내 축구계의 시선은 악화일로다. 정 회장은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의 부진과 2024 파리 올림픽 본선 진출 실패 등 최근 한국 축구가 겪고 있는 위기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감독으로서 ‘낙제점’인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의 선임과 황선홍 23세이하 대표팀 감독의 A대표팀 감독 겸임 등이 정 회장의 독단적인 결정이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정 회장과 협회는 이에 대해 이렇다 할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정 회장의 AFC 집행위원 선출 역시 정 회장의 협회 회장 4선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체육단체장은 3연임부터는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야 도전할 수 있는데, 단체장이 국제단체 임원을 맡으면 공정위 심의를 통과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축구계에서는 정 회장의 독단적인 협회 운영을 규탄하며 사퇴할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7일에는 한국축구지도자협회가 “낙후된 축구 저변은 돌보지 않고 오로지 대표팀 성적에만 몰두하는 현 집행부의 졸속행정 때문에 한국 축구가 퇴보하고 있다”며 정 회장의 즉각적인 사퇴를 촉구했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