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멕시코 대자연의 선물, 테킬라와 메스칼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멕시코 대자연의 선물, 테킬라와 메스칼

입력 2025-01-22 00:10
수정 2025-01-22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멕시코 할리스코주 테킬라 마을 인근의 용설란 밭 모습. 테킬라의 원재료인 블루 아가베가 펼쳐져 있다.
멕시코 할리스코주 테킬라 마을 인근의 용설란 밭 모습. 테킬라의 원재료인 블루 아가베가 펼쳐져 있다.


가끔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솔직히 멕시코를 대표하는 술 테킬라의 원재료는 당연히 멕시코에 널린 선인장인 줄로만 알고 있었다. 아마도 대부분 그렇게 알고 있겠지만 원예학 전공자가 아닌 이상 용설란이라는 게 선인장과 서로 다른 식물인지 아는 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오늘은 선인장이 아닌 용설란이 멕시코에 준 두 가지 선물에 관한 이야기다.

용설란은 이름 그대로 용의 혀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의외로 아스파라거스목 아스파라거스과에 속하는 다육식물이다. 선인장보다 아스파라거스, 알로에, 백합과 가까운 친척이다. 잎이 두껍고 길쭉한 편인데 여러 품종에 따라 길이나 모양새가 제각각이다. 선인장은 잎은 퇴화하고 줄기만 남은 친구로, 가시가 나 있는 게 특징이다. 둘 다 건조한 기후를 좋아하는 아메리카 출신의 식물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용설란으로는 술을 만들 수 있는 반면 선인장으로는 술을 못 만든다는 게 두 식물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미지 확대
용설란의 밑동인 피냐의 모습. 피냐를 쪄서 발효 후 증류시키면 테킬라, 땅속 화덕 오븐에 넣고 구우면 메스칼이 된다.
용설란의 밑동인 피냐의 모습. 피냐를 쪄서 발효 후 증류시키면 테킬라, 땅속 화덕 오븐에 넣고 구우면 메스칼이 된다.


그렇다면 용설란으로 어떻게 술을 만들까. 고대 멕시코 사람들은 용설란의 잎을 제거하고 남은 밑동인 ‘피냐’에 상당한 양의 달콤한 즙이 있다는 걸 알았다. 이 즙을 짜 자연발효시켜 만든 발효주를 풀케라고 하는데 지금도 그 문화가 남아 있다. 우리의 막걸리와 비슷한 시큼털털한 맛에서 단맛을 조금 더 품은 맛이 난다. 그렇다면 ‘증류주인 테킬라는 풀케를 증류한 것이구나’ 하고 조금 앞서 나갈 수도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정답이 아니다. 풀케를 만들기도 전에 용설란을 쪄서 발효시킨 후 증류한 게 테킬라이기 때문이다.

술을 증류시켜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주를 만드는 기술은 스페인 정복자가 가지고 온 기술이다. 어떻게든 신대륙에서 고도주를 만들고 싶었던 이들은 원주민들이 마시던 풀케의 원료인 용설란에 눈길이 갔고 이렇게 스페인의 기술과 멕시코인들의 전통이 만나 만들어진 술을 ‘메스칼’이라 불렀다. 테킬라는 멕시코의 많은 메스칼 중 한 종류로 마치 프랑스 스파클링 와인 중 샹파뉴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만 샴페인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처럼 테킬라도 멕시코의 할리스코주 테킬라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구역에서 특별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메스칼에만 붙여지는 하나의 브랜드다. 멕시코에는 테킬라만 있는 게 아니라는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다양한 종류의 테킬라들이 선반에 놓여 있다. 테킬라는 4번 증류하는데 이로 인해 보통 2번 증류하는 메스칼보다 깔끔하다.
다양한 종류의 테킬라들이 선반에 놓여 있다. 테킬라는 4번 증류하는데 이로 인해 보통 2번 증류하는 메스칼보다 깔끔하다.


메스칼은 30가지가 넘는 품종의 용설란을 사용해 만들어지지만 테킬라는 오로지 ‘블루 아가베’라는 품종만 사용해 만든다. 테킬라가 위치해 있는 할리스코주의 평원에서는 블루 아가베들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장관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그 광경을 보면 왜 블루라는 이름이 붙여졌는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제조 과정에서도 두 술은 차이가 있다. 테킬라는 피냐를 증기로 찌는 반면 전통 방식을 고수하는 메스칼은 땅속 화덕에서 피냐를 굽는데 이 과정 때문에 최종 맛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테킬라는 단순하고 깔끔하며 비교적 세련된 맛인 반면 메스칼은 특유의 훈연향이 녹아들어 스모키 한 베이스에 훨씬 더 강렬하고 복합적이며 품종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진다는 차이가 있다.

테킬라는 세계적인 유명세 덕에 거의 모든 작업 과정과 양조 과정이 산업화돼 대량생산에 최적화돼 있다. 반면 메스칼은 신식 설비를 갖춘 곳도 있지만 아직도 대부분 전통방식을 고집하거나 혼재해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흥미로운 차이점이다. 일반적인 메스칼은 테킬라처럼 현대화된 설비에서 만들어지지만 메스칼 아르테사날(Mezcal Artesanal)이라는 이름이 붙는 메스칼은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 기술을 혼합해 생산된다. 주로 땅속 화덕에서 아가베를 굽고, 맷돌의 일종인 타호나로 갈아 내 발효를 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거쳐 현대식 구리 증류기를 사용한다. 메스칼 안세스트랄(Mezcal Ancestral)은 구리 증류기가 아닌 점토 증류기와 나무 발효조를 사용하는 등 전통적인 방법만을 사용해 생산되는데 생산량이 적고 손은 더 가지만 맛이 더 복합적인 게 특징이다.

테킬라와 메스칼은 숙성 방식과 기간에 따라 품질을 구별하기도 한다. 젊다는 뜻의 호벤(Joven)은 오크통에 숙성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레포사도(Reposado)는 짧게는 2개월 길게는 12개월 동안 미국산 버번오크통에 숙성시킨 걸 의미한다. 12개월 이상 숙성시킨 것은 아녜호(Añejo)라고 하는데 숙성이 오래될수록 특유의 거칠고 튀는 맛이 부드러워지고 버번오크통이 배어 달콤한 맛이 더해진다. 개인적 취향으론 숙성시킬수록 위스키나 버번과 같은 캐릭터가 오히려 메스칼과 테킬라 고유의 개성을 가리는 듯해 오히려 숙성을 하지 않거나 유리병에 숙성시킨 쪽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멕시코엔 “테킬라는 키스하듯이, 메스칼은 기도하듯이 마셔야 한다”는 말이 있다고 한다. 이를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고대부터 이어져 온 신성한 의식의 흔적이라고 분석하는 견해도 있다. 용설란이 신들의 선물이었듯 이를 발효하고 증류한 술 역시 신성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도 좋지만 독한 술이니 만큼 아마도 조심해서 조금씩 마시라는 의미가 더 강한 게 아닐까도 싶다.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이미지 확대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2025-01-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