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금 보유량은 외환 보유고의 0.2% 수준으로 나타났다.
21일 세계금위원회(WGC)의 7월 ‘세계 공식 금 보유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14.4t을 보유, 국제기구를 포함한 조사대상 113개국 중 56위(보유량 기준)다.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했지만 보유량은 2009년 1분기 14.3t에서 같은 해 2분기에 14.4t으로 증가한 이후 변동이 없다. 금값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금을 추가로 매입하지 않은 탓이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량 대비 금의 비율은 금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케냐, 오만, 칠레, 콩고와 0.1% 수준의 코스타리카, 아이티, 온두라스 등과 함께 최저 수준이다.
역사적으로 금 본위제를 시행하거나 식민 지배를 통해 오랜 시간 금을 축적해온 서구 선진국과 단순 비교는 무리지만 외환보유고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특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큰 시기인 만큼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히는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다.
전 세계 국가의 총 금 보유량은 3만 683.6t이며 이 가운데 미국이 8133.5t으로 가장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독일(3401.0t)과 국제통화기금(IMF·2814.0t)이 그 뒤를 이었다.
외환보유고 대비 금 보유 비율은 포르투갈이 84.8%로 가장 높았고 그리스(79.5%), 미국(74.7%), 독일(71.7%), 이탈리아(7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브릭스(BRICs) 국가들은 금 보유량은 물론 외환 보유고 대비 면에서도 우리나라를 앞섰다.
통상 6~8월은 금거래 비수기로 통하지만 올해는 지난 4월 온스당 1500달러를 넘어선 지 3개월 만인 지난 18일 심리적 장벽으로 간주됐던 1600달러가 무너졌다. 최고가 경신 이후 잠시 주춤하긴 했지만 이날 새벽 2시 55분(미 동부 시간) 현재 1603.20달러를 기록하는 등 1600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1일 세계금위원회(WGC)의 7월 ‘세계 공식 금 보유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14.4t을 보유, 국제기구를 포함한 조사대상 113개국 중 56위(보유량 기준)다.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했지만 보유량은 2009년 1분기 14.3t에서 같은 해 2분기에 14.4t으로 증가한 이후 변동이 없다. 금값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금을 추가로 매입하지 않은 탓이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량 대비 금의 비율은 금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케냐, 오만, 칠레, 콩고와 0.1% 수준의 코스타리카, 아이티, 온두라스 등과 함께 최저 수준이다.
역사적으로 금 본위제를 시행하거나 식민 지배를 통해 오랜 시간 금을 축적해온 서구 선진국과 단순 비교는 무리지만 외환보유고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특히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큰 시기인 만큼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히는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다.
전 세계 국가의 총 금 보유량은 3만 683.6t이며 이 가운데 미국이 8133.5t으로 가장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독일(3401.0t)과 국제통화기금(IMF·2814.0t)이 그 뒤를 이었다.
외환보유고 대비 금 보유 비율은 포르투갈이 84.8%로 가장 높았고 그리스(79.5%), 미국(74.7%), 독일(71.7%), 이탈리아(7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브릭스(BRICs) 국가들은 금 보유량은 물론 외환 보유고 대비 면에서도 우리나라를 앞섰다.
통상 6~8월은 금거래 비수기로 통하지만 올해는 지난 4월 온스당 1500달러를 넘어선 지 3개월 만인 지난 18일 심리적 장벽으로 간주됐던 1600달러가 무너졌다. 최고가 경신 이후 잠시 주춤하긴 했지만 이날 새벽 2시 55분(미 동부 시간) 현재 1603.20달러를 기록하는 등 1600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7-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