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호 임금 인상의 명암] “적자 중소기업 태반인데… 대기업과 임금 격차만 더 커질 것”

[최경환호 임금 인상의 명암] “적자 중소기업 태반인데… 대기업과 임금 격차만 더 커질 것”

입력 2014-08-01 00:00
수정 2014-08-01 0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임금인상·투자 압박… 중소기업만 고통

#사례1. 대기업 계열사지만 직원 수 150여명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4년차 직장인 김모(27·여)씨의 현재 연봉은 입사 초기와 비교하면 10% 오른 수준이다. 하지만 10% 인상했다고 해도 3000만원을 넘지 못할뿐더러 매년 연봉이 오르긴 올라도 1%대에서 인상될 뿐이다. 김씨는 “입사 때 초봉이 워낙 적어 10%나 오른 것”이라면서 “회사 사정이 좋지 않아 인상을 기대하기보다는 동결되는 것도 감지덕지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례2. 식음료업종 대기업에 근무하는 6년차 직장인 이모(31)씨의 현재 연봉은 신입사원 때보다 1.5배 올랐다. 이 회사는 지난해를 제외하고 꾸준히 흑자를 낸 덕분에 직원들의 임금도 계속 오르고 있다. 이 회사는 매년 고과에 따라 등급을 매겨 연봉 인상 수준을 결정한다. 이씨는 “올해 연봉은 최저 3%, 최고 7% 인상이 적용됐는데 인센티브는 별도로 주어진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기업이 앞으로 발생하는 이익을 일정 수준 이상 근로자의 임금이나 투자 등에 사용하지 않으면 추가 과세하는 정부의 방안에 대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만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경기가 어려울수록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받는 타격이 더 커서 이익은커녕 적자를 볼 수 있는 상황이라 임금 인상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실제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잡코리아에 따르면 잡코리아 좋은일연구소가 지난해 말 대기업 및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403명을 대상으로 올해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봉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의 4년제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3707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은 2580만원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신입 평균 연봉 격차는 1127만원에 달했다.

대기업 가운데서는 업종에 따라 신입사원 연봉이 1000만원 이상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조사 결과 조선중공업(4300만원)과 금융(4189만원) 업종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이 가장 높았고 유통(3308만원), 식음료외식(3416만원) 업종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잡코리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4년제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봉 격차는 2007년 1000만원 이상으로 커진 이래 그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고 특히 대기업 가운데서도 업종 간 연봉 격차가 컸다”고 밝혔다.

학계와 연구단체 등은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연봉 격차가 크고 대기업 안에서도 업종별 차이가 벌어지는 상황에서 결국 환경이 더 나은 곳이 계속 이득을 봐 소득 양극화가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윤경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이익을 내는 대기업 직원들 중에서도 고액을 받는 임원의 연봉은 지속적으로 오르는 반면 이익을 내지 못하는 중소기업 직원의 연봉은 오르기 어려워 이익을 얻는 사람이 더 얻는 구조가 고착화될 것”이라면서 “기업들이 요청해 온 규제 완화 등의 투자 요건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순위”라고 말했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현재 청년 고용률이 39%인 데다 수백만 명이 영세 자영업자인 상황에서 이들을 위한 좋은 일자리 마련이나 직업 안정화 대책을 세우기보다 이미 안정된 일자리가 있는 사람들에게 임금을 더 주겠다는 발상은 이해하기 어려운 대책”이라고 꼬집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8-0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