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0일 오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빅테크·핀테크 업계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30일 이 원장은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빅테크·핀테크 업계와의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와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 원장은 “이를 위해 (이번 인사에서) 공매도 조사팀을 새로 신설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지난 22일 공매도 물량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진 외국계 증권사인 모건스탠리에 대한 수시검사에 착수했다. 이어 메릴린치에 대한 수시검사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이들 회사에 대해 공매도 관련 수시 검사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특정 시장에서 특정 플레이어들이 너무 큰 포션(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면 과연 그 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되는 건지에 대한 일반적인 의문이 있을 것”이라면서 “감독원으로서는 우려가 있는 시장의 모습을 점검해야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의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검사가 제재의 측면이라기보다는 시스템을 개선할 부분을 찾기 위한 목적에 가깝다는 설명도 내놨다. 이 원장은 “시장에서의 예측은 비슷할 것이고, 공매도 시장에 참여를 원하는 다른 기관이나 법인들도 꽤 니즈(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특정 기관에만 몰려 있는 게 현실이라면 관련된 시장의 시스템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면서 “제재 측면이라기 보다는 시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차고 참여 기회를 넓혀 우리 금융시장의 저변을 넓히고 각 플레이어들의 효용을 증진시키는 목적”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