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에 이물이 있으면 불쾌하고 혐오스럽다. 단단하거나 날카로운 이물은 치아 손상뿐 아니라 자칫 입, 혀, 목, 위 및 내장 조직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다. 식품제조용 기기나 기구는 대부분 금속이다. 사용하기 편리하고 내구성이 좋기 때문이다. 다만 피로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조립된 나사 등이 풀려 부품이 떨어지면 식품에 금속이 혼입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해외에서 딸기에 바늘을 넣는 ‘식품 테러’도 발생해 금속이물의 혼입 방지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금속이물 관리는 금속이물을 식품에 들어가지 않게 하고, 불필요한 금속 물품을 작업장에 들이지 않으며, 식품 속 금속을 잘 제거하는 세 가지 원칙이 기본이다. 식품안전관리기준인 ‘해썹’(HACCP)도 이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우선 식품에 금속이 들어가지 않도록 식품제조용 기구의 부품이 빠지지 않는지를 늘 관리해야 한다. 작업장에는 귀걸이 등 금속 혼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품의 착용이나 반입을 금지한다. 이런 체계에도 불구하고 이물이 혼입될 가능성에 대비해 각종 여과장치로 걸러내거나 금속검출기를 이용한다.
분쇄공정이 있는 식품에서는 분쇄기 자체가 마모돼 쇳가루가 식품에 혼입될 수 있다. 금속가루는 식품에서 변색된 이물로 인식돼 소비자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액상이나 분말 제품에서 크기 2㎜ 이상의 금속이물을 규제한다. 2㎜ 이하이더라도 식품 1㎏당 10㎎ 이상의 쇳가루는 함유하지 않도록 식품위생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금속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금속검출기나 자석 장치도 많이 개발돼 있다. 식품업계의 노력이 식품시설 제조사의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동안 분유, 고춧가루, 환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서 소비자의 불만이 제기됐다. 이에 자석봉 등을 이용한 이물 제거 기술도 발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건강식품으로 각광받는 ‘노니’ 일부 제품에서 금속이물이 발견된 것은 유감이다.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진 만큼 영업자도 안전관리에 노력을 기울일 때 신뢰 속에서 사업을 성장시킬 수 있다. 제품 특성에 맞게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게 식품안전관리기준의 기본이다. 새해를 맞아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발전을 빌며 소비자도 안심하고 윤택함을 누릴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빈다.
박선희 한국식품안전관리 인증원 이사
우선 식품에 금속이 들어가지 않도록 식품제조용 기구의 부품이 빠지지 않는지를 늘 관리해야 한다. 작업장에는 귀걸이 등 금속 혼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품의 착용이나 반입을 금지한다. 이런 체계에도 불구하고 이물이 혼입될 가능성에 대비해 각종 여과장치로 걸러내거나 금속검출기를 이용한다.
분쇄공정이 있는 식품에서는 분쇄기 자체가 마모돼 쇳가루가 식품에 혼입될 수 있다. 금속가루는 식품에서 변색된 이물로 인식돼 소비자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액상이나 분말 제품에서 크기 2㎜ 이상의 금속이물을 규제한다. 2㎜ 이하이더라도 식품 1㎏당 10㎎ 이상의 쇳가루는 함유하지 않도록 식품위생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금속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금속검출기나 자석 장치도 많이 개발돼 있다. 식품업계의 노력이 식품시설 제조사의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동안 분유, 고춧가루, 환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서 소비자의 불만이 제기됐다. 이에 자석봉 등을 이용한 이물 제거 기술도 발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건강식품으로 각광받는 ‘노니’ 일부 제품에서 금속이물이 발견된 것은 유감이다.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진 만큼 영업자도 안전관리에 노력을 기울일 때 신뢰 속에서 사업을 성장시킬 수 있다. 제품 특성에 맞게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게 식품안전관리기준의 기본이다. 새해를 맞아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발전을 빌며 소비자도 안심하고 윤택함을 누릴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빈다.
2019-01-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