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 작가
그러나 이는 딱히 그가 검소한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당시까지만 해도 알루미늄을 정련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그만큼 알루미늄 제품이 매우 귀했기 때문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금보다 더 귀하고 귀금속 위의 귀금속이란 평가를 받던 알루미늄은 전기분해법의 등장으로 흔하게 되었고 지금은 그 누구도 귀금속으로 여기지 않는다. 희소성이 사람들의 선호를 뒤바꾼 케이스라 할 수 있다.
이건 매우 일반적인 현상이다. 희소성은 무언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다. 그러나 여기엔 부작용도 있어서 때론 흔한 것을 지나치게 저평가하고 희소한 것을 지나치게 고평가하기도 한다.
이런 희소성에 따른 선호의 변화는 단지 상품에 끝나지 않는다. 낡은 공장지대와 낡은 건물에 대한 선호 또한 희소성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이러한 건물과 지역이 만드는 분위기는 불과 2000년대 중반까지 별달리 선호하지 않던 것이었다. 이렇게 낡고 더러운, 가난한 시절의 흔적으로 취급하던 공간은 아파트라는 주거방식이 대중화되고 노동환경이 개선되면서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곳이 되었고 특색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어쩌면 아파트란 주거공간에 대한 과소평가도 이러한 희소성에서 비롯되었는지도 모르겠다.
문화와 역사, 재개발 논란이 엮인 주제들이 최근에 큰 화젯거리다. 아마 앞으로 더 많은 논란들이 일 것이다. 그렇다면 대체 무엇이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이고 아닌 것일지를 앞으로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반짝이는 것이 모두 금은 아니다’ 라는 격언처럼 오래되었다고 모두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대량생산에 대한 과소평가와 수제에 대한 과대평가는 손으로 만들었다는 것 외에는 장점이 없는 저급 수제품이 시장에 넘쳐나는 결과를 만들었다. 적어도 그런 결과는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
희소성을 확보하여 현대인이 선호하는 공간으로 변한 낡고 오래된 곳들은 현대인의 도심 관광용으로 선호 받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곳을 주거나 업무라는 생활공간으로 선호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그렇다면 그곳을 누구를 위한 공간으로 쓸 것이냐를 생각하는 것이 보존이냐 재개발이냐를 정하는 데 좋은 기준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알루미늄은 전기분해법의 등장으로 흔한 금속이 되고 귀금속의 지위를 잃었다. 그러나 대신 사람들에게 가장 유용한 금속으로 활용되고 있다. 만약 산업용으로 가치가 없고 정말로 희소했다면 알루미늄은 여전히 귀금속에 머물렀을 것이다. 공간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하지 않을까?
2019-02-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