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공유하지 않은 자들의 공동체/ 알폰소 링기스 지음 바다출판사 펴냄
문제의식은 제목 그대로다. ‘아무것도 공유하지 않은 자들의 공동체’(알폰소 링기스 지음, 김성균 옮김, 바다출판사 펴냄). 저자는 ‘아무것도 공유하지 않은’ 이들이 공동체를 구성할 가능성을 탐구해 보자고 제안한다. 연대, 연합, 코뮌 같은 기존 논의를 뛰어넘기 위한 시도다. 저자는 미국인임에도 유럽에서 현상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 몇몇 단어나 문장은 원문의 복잡함 때문인지 아니면 번역 수준이 고르지 못한 탓인지 읽기 쉽지 않지만, 대부분의 문장들이 좋다. 특히 3장 ‘얼굴들, 우상들, 물신들’, 4장 ‘세계의 잡음’은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저자는 합리적 공동체의 티끌 하나 없이 맑고 숭고한 소통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모든 소통과정에는 상대에 저항하고 상대를 침묵시키기 위해 행사되는 강제력이 존재”한다. 그래서 “폭력을 단념하고 소통을 시작하는 두 개인”은 문명화된 것이기도 하지만 “국외자들과 전혀 소통하지 않는 폭력적 관계로 진입”한다. 저자는 이를 소크라테스 공동체, 투명한 루소주의 공동체라고 부른다. 억압적 정치권력일수록 동원을 소통이라 우겨대면서 자신의 진정성을 유달리 강조하는 현상은 여기서 벌어진다. 그들이 말하는 소통은 비국민으로 낙인 찍힌 자들에겐 오직 공포, 절망, 포기만 안겨 주겠다는 것인데도.
그래서 재밌는 비유가 나온다. “녹음된 백색소음이 우주캡슐들에 추가됐고, 백색소음이 녹음된 음반들이나 테이프들이 방음처리가 된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인간이나 생물들에 판매되기도 한다.” 그러니까 바흐의 음악에는 음악만 있는 게 아니라 “신을 찬양하고, 공덕과 구원을 얻으며 자신이 낳은 열두 자녀의 무사안녕을 기도하고, 텔레만과 퍼셀과 경쟁하며, 자신의 후원자들의 지위를 상승시키고, 모든 도시의 성공적인 크리스마스 축제에 공헌하는” 소리가 담겼기에 명작이다. 이런 요소를 제거한 오늘날 전자음악은 그냥 일회용이다.
잡음은 제거 대상이 아니라 경청 대상이란 주장이다. 가장 미약한 잡음은? 죽어가는 이들이 내는 소리다. 아무것도 공유하지 않은 자들이 유일하게 공유하는 것은 오직 ‘죽음’이다. 그래서 “병원에서든 빈민촌들에서든 외롭게 홀로 죽어가는 사람을 방치하는 사회는 급속히 자멸하는 사회다.” 그래서 새로운 공동체의 출발점은 죽음이다. 요즘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진주의료원 폐쇄 결정을 둘러싼 뜨거운 논란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1만 5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4-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