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신중한 까닭은
미국은 왜 천안함 침몰과 관련, 북한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냉정한 입장을 견지하는 것일까.수색 난항
기상 악화와 빠른 조류 때문에 천안함 실종자 구조 작업이 난항을 겪은 31일 해병대원들이 백령도 장촌포구에서 수색 준비를 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기상 악화와 빠른 조류 때문에 천안함 실종자 구조 작업이 난항을 겪은 31일 해병대원들이 백령도 장촌포구에서 수색 준비를 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미국은 사고 직후인 지난 26일(현지시간)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 담당 차관보가 “그것(북한 개입설)을 뒷받침할 어떤 근거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한 이후 줄곧 몸을 사리는 자세를 보여왔다. 29일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 국무부 부장관은 “제3자가 개입했다고 믿을 근거는 없다.”고도 했다.
세계 최고의 감청·통신 체계를 운용하고 있는 미국의 이런 입장은 북한 개입 의혹을 억누르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사건의 베일이 조금씩이나마 벗겨지면서 미국의 말이 전적으로 옳은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소형 잠수정이 몰래 잠입할 경우 제아무리 미군이라 하더라도 100% 잡아낼 수는 없다고 한다. 그런데도 미국이 처음부터 조금은 단정적으로 “근거가 없다.”는 식으로 말한 것은, 마치 ‘북한의 개입이 사실이 아니었으면’하는 속내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한 군사 전문가는 31일 “미국 입장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얘기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소극적으로 비쳐지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대북관계에서 현상유지를 바라는 미국의 정치적 판단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 미국 입장에서는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힘겨운 전쟁을 하는 와중에 한반도를 굳이 정정 불안지역으로 몰고가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은 과거에도 북한의 도발로 피해를 입은 한국이 보복조치를 취하려 할 때마다 주저앉힌 적이 많았다. 1967년 우리 해군의 당포함이 북한의 해안포 공격으로 침몰해 39명이 전사했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에 응분의 군사조치를 취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듬해 터진 1·21 사태와 1983년 아웅산 폭파 사건 때도 한국은 대북 보복을 주장했지만 미국은 수용하지 않았다. 멀게는 6·25 직후 미군이 북방한계선(NLL)을 그은 것도 이승만 대통령의 북진(北進)을 막기 위해서였다.
구조대원들의 선체 수색 결과 등으로 외부 공격설에 점차 무게가 실려서 그런지는 몰라도 30일부터 미국의 입장이 다소 후퇴하는 듯한 발언이 감지되고 있다. 제프 모렐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의 기뢰 폭발 여부와 관련, ‘근거가 없다.’는 대답 대신 “배가 바닷속에 잠겨 있기 때문에 현시점에서는 그것을 규명할 길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 [사진] 살신성인 故한주호 준위
☞ [사진] 실낱같은 희망이라도…천안함 침몰 그후
2010-04-0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