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때부터 예견된 일” 불통 인선에 각 세우는 與

“인수위 때부터 예견된 일” 불통 인선에 각 세우는 與

입력 2013-03-26 00:00
수정 2013-03-26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근혜 대통령이 내정한 고위 공직자의 ‘도미노 낙마’와 관련해 새누리당은 25일 씁쓸한 비판을 내놨다. “박 대통령의 ‘불통’ 인선에 문제가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으면서도 차마 수면 위로 올리지 못하고 속만 태우던 새누리당이 박 대통령에 대해 본격적으로 각을 세우는 쪽으로 기류가 바뀌는 모습이다. “박 대통령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게 흐르고 있다”는 판단이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이날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불거진 박 대통령의 ‘인사 잡음’과 관련해 “청와대 인사라인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는 비판을 표면화했다. 박 대통령의 인사에 대해 ‘유감’을 나타낸 의원도 적지 않았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직 후보자 스스로 결함이 많다면 공직 제안을 수용하지 말았어야 했다”면서 “결함을 결함으로 인정하지 않을 정도로 법과 윤리에 둔감한 사람이라면 고위 공직을 감당할 자질이나 능력이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새누리당의 한 3선 의원은 박 대통령의 ‘인사 참사’와 관련,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때부터 예견됐던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 대통령은 인사 문제와 관련해 당과 벽을 쌓은 상태에서 누구를 앉힐까만 고민했다. 이에 대해 직언하는 사람이 주변에 없다 보니 검증이 허술했던 것”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3-03-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