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임금 근로자 비중 45% 차지
여성, 남성보다 월급 31% 덜 받아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전년보다 28만 2000명 증가한 997만 6000명으로 집계됐다. 1963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올해 1000만명 돌파가 유력해 보인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여성 비중은 45.7%까지 확대되며 남녀 ‘평등 고용’ 수치인 50%에 바짝 다가갔다. 전체 여성 취업자 수가 1246만 4000명으로 최대를 기록했고 비중도 43.9%로 역대 가장 높았다.
이처럼 여성의 경제활동은 활발해졌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여전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간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보고서 2024’에 따르면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31.2%로 OECD 35개 회원국 중 가장 컸다.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월급을 31.2% 적게 받는다는 의미다. OECD 평균인 12.1%와는 2.6배 차이가 났다. 격차가 30% 이상 벌어진 국가로는 한국이 유일했다. 다음으로 이스라엘(25.4%), 일본(21.3%)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남녀 임금 차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임금 격차의 원인을 바라보는 남녀 시각도 달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월 19~59세 임금근로자 150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성별 임금 격차 발생 원인’(복수 응답)을 물었을 때 남성은 ‘출산·육아에 따른 경력 단절로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가 짧아서’(39.6%)라는 답을 가장 많이 했다. 반면 여성은 ‘채용·승진·배치 등에서 성차별 누적’(54.7%)을 주된 원인으로 봤다.
2024-04-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