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근로자 1000만 역대 최대… 임금 격차는 OECD 27년째 1위

여성 근로자 1000만 역대 최대… 임금 격차는 OECD 27년째 1위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4-04-10 00:54
수정 2024-04-10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임금 근로자 비중 45% 차지
여성, 남성보다 월급 31% 덜 받아

이미지 확대
지난해 취업 전선에 뛰어든 여성 근로자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사업체에 고용돼 월급을 받는 여성 임금근로자가 1000만명에 육박했고 자영업자(비임금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여성 취업자 수는 1240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남녀 임금 격차가 27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하는 등 여성에 대한 고질적 임금 차별은 여전했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전년보다 28만 2000명 증가한 997만 6000명으로 집계됐다. 1963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올해 1000만명 돌파가 유력해 보인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여성 비중은 45.7%까지 확대되며 남녀 ‘평등 고용’ 수치인 50%에 바짝 다가갔다. 전체 여성 취업자 수가 1246만 4000명으로 최대를 기록했고 비중도 43.9%로 역대 가장 높았다.

이처럼 여성의 경제활동은 활발해졌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여전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간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보고서 2024’에 따르면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31.2%로 OECD 35개 회원국 중 가장 컸다.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월급을 31.2% 적게 받는다는 의미다. OECD 평균인 12.1%와는 2.6배 차이가 났다. 격차가 30% 이상 벌어진 국가로는 한국이 유일했다. 다음으로 이스라엘(25.4%), 일본(21.3%)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남녀 임금 차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임금 격차의 원인을 바라보는 남녀 시각도 달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월 19~59세 임금근로자 150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성별 임금 격차 발생 원인’(복수 응답)을 물었을 때 남성은 ‘출산·육아에 따른 경력 단절로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가 짧아서’(39.6%)라는 답을 가장 많이 했다. 반면 여성은 ‘채용·승진·배치 등에서 성차별 누적’(54.7%)을 주된 원인으로 봤다.

2024-04-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