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년은 됐을 낡은 찬장이며 가구들을 분리수거장에서 빤히 들여다보고는 한다. 누군가의 한 생애에 붙박이 풍경이었을 것들. 쓸모를 다한 것의 뒷모습은 생명이 있거나 없거나 쓸쓸하다.
오래된 물건을 볼 때는 오래전 라디오에서 스쳤던 사연이 잊히지도 않고 떠오른다. 목화밭 집 딸이었던 외할머니, 손수 딴 목화로 시집올 때 지어 온 솜이불. 비단 홑청 새로 시침해 엄마의 혼수이불로, 묵은 솜 곱게 틀어 다시 엄마의 딸이 덮고 잔다던. 탐스러워 박물지에나 나올 길고 긴 이야기.
십년쯤 전에 장롱을 정리하다 나는 혼수이불을 없앴다. 할머니와 엄마가 여러 날 매만지고 쓸었던 명주솜 이불. 철따라 시침할 재간도 없고 모셔만 두느니 치우자 큰마음 냈던 일. 제 발등을 찍은 듯 영원히 후회를 한다. 철없어 걷어찼지, 세상 가장 따뜻한 이불을.
오래 데워져서 오래 식지 않는 것들, 있어도 없는 듯 곁에 있는 것들, 낡아서 따듯해지는 것들이 나를 지켜주는데.
꿈을 꿀지 모른다. 아무도 이불을 덮지 않는 먼 모래사막까지 가서 솜이불을 찾는 꿈. 물먹은 솜처럼 마음이 젖은 이런 겨울밤에는.
황수정 논설실장
2024-12-27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